빈 무덤을 본 여인들
(마27:62-28:6)(175)①
62 그 이튿날은 준비일 다음 날이라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함께 빌라도에게 모여 이르되
63 주여 저 속이던 자가 살아 있을 때에 말하되 내가 사흘 후에 다시 살아나리라 한 것을 우리가 기억하노니
64 그러므로 명령하여 그 무덤을 사흘까지 굳게 지키게 하소서 그의 제자들이 와서 시체를 도적질하여 가고 백성에게 말하되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다 하면 후의 속임이 전보다 더 클까 하나이다 하니
65 빌라도가 가로되 너희에게 경비병이 있으니 가서 힘대로 굳게 지키라 하거늘
66 그들이 경비병과 함께 가서 돌을 인봉하고 무덤을 굳게 지키 니라
1 안식일이 다 지나고 안식 후 첫날이 되려는 새벽에 막달라 마 리아와 다른 마리아가 무덤을 보려고 갔더니
2 큰 지진이 나며 주의 천사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돌을 굴려 내 고 그 위에 앉았는데
3 그 형상이 번개 같고 그 옷은 눈같이 희거늘
4 지키던 자들이 그를 무서워하여 떨며 죽은 사람과 같이 되었더 라
5 천사가 여자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너희는 무서워하지 말라 십 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를 너희가 찾는 줄을 내가 아노라
6 그가 여기 계시지 않고 그의 말씀하시던 대로 살아나셨느니라 와서 그가 누우셨던 곳을 보라
본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당시에 예수님의 부활이 종교가들에게는 상당히 부담되었던 모양입니다. 오늘날의 사람들처럼 부활이라는 말을 단순히 ‘예수님이 부활하셨던 모양이다.’라고 생각할 수가 있겠습니다만 그 당시에는 예수님이 죽었다가 삼일 후에 다시 살 것이라는 예언이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만약에 정말 예수님이 부활했다고 하면 유대백성들은 예수님이 진짜 메시야임이 확인되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종교가들은 자기네들이 가지고 있었던 권력과 체계가 허물어 질 것이기 때문에 두려워했습니다.
그래서 종교지도자들은 사전에 그런 소문이 더 이상 떠돌지 않기 위해서 경비병을 통하여 무덤을 지키게 했습니다. 혹시라도 제자들이 시체를 훔쳐가서 예수님이 부활했다고 할까봐 미리 예방을 한 것이지요.(63-64절)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는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뜻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자기들이 가지고 있었던 권력을 지키는 것에만 급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요즘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자식에게 교회를 물려주기 위하여 유학까지 보내서 학위를 얻게 하고 버젓이 담임목사로 초빙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볼 수 있습니다. 내가 가졌던 권력을 남에게 주지 않고 자식에게 유산으로 물려주겠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교회를 권력 지키는 도구로 생각한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습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하나님에 대해서 크게 반발심을 가지는 요인 중의 하나가 하나님은 죽이기도 하시고 살리기도 하시며 부자도 만드시지만 그 부자를 가난하게도 하신다는 것에 대해서 대단히 거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무조건 자기들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비롭기만 하고 선하신 분으로서 사람들이 병이 걸리면 낫게 해주시고 부자로 만드셔서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고 결국에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천국에서 영원히 살게 하시는 그런 하나님을 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경속의 하나님은 죽이시기도 하는 하나님, 병들게도 하시고 가난하게도 하시는 하나님, 지옥에 보내시기도 하는 하나님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삼상 2:6-7절에 ‘여호와는 죽이기도 하시고 살리기도 하시며 스올에 내리게도 하시고 거기에서 올리기도 하시는도다 여호와는 가난하게도 하시고 부하게도 하시며 낮추기도 하시고 높이기도 하시는도다’
여러분, 하나님은 이런 분이십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하나님이 아니라 우주를 창조하시며 그의 뜻대로 운행하시는 분이시라는 것입니다.
자기 백성에게 예수님을 믿게 하는 것도 하나님이시고 예수님을 믿지 못하게 가로막는 분도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런 하나님에게는 관심이 없고 자기가 원하는 하나님만 섬기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오늘 본문에 나오는 종교지도자들은 자기들이 원하는 즉, 예수님의 은혜는 필요없고 계명만 잘 지키면 천국에 보내주시는 하나님이어야 하기 때문에 예수님의 부활은 절대로 있으면 안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본문에서 예수님의 부활을 본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예수님의 무덤을 찾아온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인데 천사를 통하여 빈 무덤인 것을 알게 됩니다. 아리마대 요셉이 분명히 돌로써 무덤 입구를 막았는데 말입니다.
그 여인들이 빈 무덤에서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누구신지 확실하게 아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은 죽음의 자리에서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가를 알려주십니다. 그렇게 하심으로 그의 백성들은 반드시 죽음의 자리를 거쳐서 믿음의 출발을 하기 원하십니다.
생명의 끝남을 죽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시작으로 해서 하나님이 주신 사명으로 사는 것이 주의 백성이기 때문입니다.
히 11:4-5절에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언하심이라 그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지금도 말하느니라 믿음으로 에녹은 죽음을 보지 않고 옮겨졌으니 하나님이 그를 옮기심으로 다시 보이지 아니하였느니라 그는 옮겨지기 전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라 하는 증거를 받았느니라’
이 말씀은 믿음이 무엇인가를 알려주고 있는데 아벨과 에녹이 죽음을 통하여 믿음을 드러내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벨은 죽더라도 그 죽음으로써 믿음이 이렇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에녹은 죽지 않고 천국에 감으로 말미암아 믿음이 이렇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 아벨과 에녹을 함께 생각해보면 사람은 죽으나 사나 믿음은 삶과 죽음을 능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벨은 죽어도 역시 믿는 자였고 에녹은 죽지 않고 살아서도 역시 믿는 자였다는 것입니다.
흔히 우리는 믿음을 이야기 할 때 자기가 가진 신분의 높음이나 인격이나 교회 직분으로써 믿음을 가졌다는 증거로 내세우는데 하나님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믿음의 증거로 받지를 않으십니다.
오직 하나님은 ‘네가 죽어도 살 것을 믿느냐? 너의 죽음을 가지고 믿음이 있음을 나타내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에녹은 세상에서 살아있으면서 천국을 생각하면서 살아왔습니다. 그런 그가 세상의 권력과 물질에 대해서 욕심을 내며 살았겠습니까? 그래서 그는 죽음 이후의 천국을 이 세상에서 맛보며 산 것입니다. 적을 천국에 두며 산 것이지요. 그것이 믿음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이라고 하는 것은 죽음 이후에 사는 삶을 미리 앞당겨서 사는 것을 말합니다. 아벨을 생각해 보세요. 하나님께 제사를 잘 드렸다는 이유로 형에게 맞아 죽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그것을 믿음이라고 보셨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죽음에 대해서 여러분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는 진짜 신앙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은 예수님의 죽음을 어떻게 보십니까? 죽음의 자리에서 다시 사신 예수님과 함께 영원한 천국에서 사시겠습니까? 아니면 여러분이 원하는 하나님을 섬기면서 사시다가 지옥에 가시겠습니까?
다음 주에 계속 하겠습니다.
'마태복음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인들의 큰 기쁨(176)① (0) | 2019.05.13 |
---|---|
빈 무덤을 본 여인들(175)② (0) | 2019.05.06 |
예수님을 장사지낸 아리마대 요셉(174) (0) | 2019.04.24 |
예수님의 죽으심(173) (0) | 2019.04.14 |
버림을 당하셔야 하는 예수님(172) (0) | 2019.04.08 |